연변조선족 자치주의 주도인 연길(延吉).
중국 어딜 가나 볼수 있는 중국식 도시에 한글간판이 서있는 곳.
(그 패턴은 티베트도 마찬가지...)
훗날 '20세기말 중국 특유의건축양식'이라고할 개성없는 모습일 수있겠지만,북간도 우리민족의대표적인 도시를
간략하게나마 소개한다.
< 연길역>
< 장백호텔 앞 시장 >
< 연길은 공사중 >
연변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길림성 동부에 위치하여 러시아, 한반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면적이 4만 3547㎢, 인구가 219만 5000명 정도로 11개 민족이 거주하고 있는데 그중 40%가 조선족이다.
조선 말기부터 한국인이 이주하여 이곳을 개척하였고 이전에는 북간도라고 불렀다. 이후 1952년 9월 3일에
자치구가 설립되어 1955년에는 자치주로 승격되었다.
연길(延吉)·도문(圖們)·돈화(敦化)·화룡(和龍)·용정(龍井)·훈춘(琿春)의 6개시와
왕칭(汪淸)·안도(安圖) 2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도문강·송화강(松花江)·
목단강(牡丹江)·소분강[綏芬江] 등이 있고, 도문강 유역에는 '동북아 금삼각주(東北亞金三角州)'라고
불리는 국제개발지, 훈춘경제개발지가 있다.
조선 말기 우리 민족에 이주하면서부터 연변은 한반도와 역사를 같이 하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의
근거지로서 독립운동가들이 활약했으며 그 때문에 청산리항일전승지(靑山里抗日戰勝地)·
봉오동(鳳梧洞) 항일전승지·일송정(一松亭) 등 유적지가 많다.
연길(延吉 : Yanji, 이엔지) - 한국의 숨결이 살아 있는 도시
연길은 2,000년이 넘는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지만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0여년 전부터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주도(州都)이며 중국 조선족 문화의 중심지로 백두산과 가까워 매년 많은 한국 여행객들이
방문하는 곳이다.
연변에서는 사람들의 옷차림, 집, 길거리를 둘러봐도 전혀 낯설지 않은, 우리 나라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는 소수민족이 모여 사는 자치주 스스로 그 민족 나름대로의 지역을 가꾸어 나가도록 하는 중국정부의
소수민족 우대 정책에 따라 연변자치주 내의정부기관이나 신문 광고 등에 조선족 자체의 문자를 우선적으로 쓰고
있고, 그 때문에 연변의 거의 모든 옥의광고가 한글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글이 공용어로 되어 있다.
연길은 여름에는 무덥고 비가 많이 내리며 겨울이 길고 춥고 뚜렷한 대륙성 계절풍 기후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연평균 기온은 5.7℃, 최저 -32.7℃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연길의 인구는 약 25만 8000명(1993)이다.
1909년 간도협약(間島協約:젠다오협약) 이후에 교역주로서 개방되자 많은 한국인 이민이 이주하여 시의 주변지역을
개척하였다. 부근에 석탄·금 등의 광산이 있고 광공업이 발달해 있다. 한국어방송국과 신문사가 있으며, 의과대학·
연변대학 등이 있다. - 이상 naver 에서 발췌 -
'여기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목사(佳木斯) - 만주 벌판의 끝 (8) | 2006.11.16 |
---|---|
연변 - 합동의료봉사 (3) | 2006.11.07 |
용정, 도문 - 일송은 간데 없고 두만강은 푸르지 않다. (3) | 2006.10.29 |
백두산 - 천지의 꿈 (5) | 2006.10.02 |
심양 - 청조의 첫번째 수도 (4) | 2006.09.28 |